가스코뉴 방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코뉴 방언은 오크어의 방언으로, 프랑스 가스코뉴 지역에서 사용된다. 언어학자들은 가스코뉴어를 독자적인 언어로 간주하기도 하며, 바스크어 기층 언어의 영향을 받아 다른 오크어 방언과 차이를 보인다. 가스코뉴어는 서부, 동부, 남부의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유대-가스코뉴어와 같은 사회 방언도 존재했다. 1982년 조사에 따르면, 가스코뉴어 사용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프랑스어화의 영향으로 젊은 세대에게 전승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가스코뉴어는 아라곤어, 카탈루냐어 등 주변 언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성모 마리아가 루르드에서 가스코뉴어로 발현했다는 증언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스코뉴 방언 | |
---|---|
개요 | |
언어 이름 | 가스콘어 |
고유어 이름 | gascon |
발음 | ɡasˈku(ŋ) |
사용 국가 | 프랑스 스페인 |
사용 지역 | 가스코뉴 |
소속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사용 현황 | 소수 언어 (프랑스 누벨아키텐, 옥시타니아), 스페인 카탈루냐 (아란어) |
![]() | |
방언 | 가스콘어 방언 참조 |
ISO 639-3 | gsc (폐기됨, oci에 통합됨) |
Glottolog | gasc1240 |
Glottolog 명칭 | 가스콘어 |
방언 정보 | |
방언 | 방언 참조 (때로는 하위 분류가 되기도 함) |
2. 언어 분류
오크어가 단일 언어를 구성하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의견이 갈리며, 일부는 오크어를 여러 개별 언어들의 묶음으로 보기도 한다. 특히 가스코뉴 방언은 언어적으로 독특하여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2]
2. 1. 오크어 내에서의 위치
많은 학자들이 오크어가 단일 언어를 구성할 수 있다고 인정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견해와 '오크어'라는 이름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대신, 오크어는 단일 언어의 방언이 아닌, 별개의 lengas d'òc|렝가스 독oci 계통을 포괄하는 용어라고 주장한다. 특히 가스코뉴어는 언어적으로 매우 독특하여 자체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2]2. 2. 바스크어 기층 언어 이론
가스코뉴어가 로마의 지배를 받기 전에 이 지역에서 사용되던 언어는 아키타니아어로, 이는 바스크어 방언 연속체의 일부였다. '가스코뉴'라는 단어 자체가 라틴어 어원 ''vasco''/''vasconem''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바스크'와 동일한 어원을 가진다. 이는 당시 화자들이 자신들을 바스크인으로 인식했음을 시사한다. 가스코뉴어의 발달 과정에서 바스크 기층 언어가 존재했다는 이론이 있으며[5], 이는 가스코뉴어와 다른 오크어 방언들 사이에 나타나는 주요 차이점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이 바스크 기층 언어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가스코뉴어의 특징 중 하나는 라틴어의 'f' 발음이 'h'로 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파티'나 '축제'를 의미하는 ''festa''와 같이 원래 'f' 발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이 가스코뉴어에서는 거센 'h' 발음으로 약화되거나(예: ''hèsta'' [ˈhɛsto] 발음), 일부 지역에서는 아예 소실되어([ˈɛsto] 발음) 발음된다. 기층 언어 이론에 따르면, 이는 바스크 방언에 해당하는 /f/ 음소가 없었기 때문에 발생한 변화이다. 유사한 음운 변화는 스페인어에서도 나타나는데, 라틴어 ''facere''가 스페인어 ''hacer'' ([aˈθer] 발음, 일부 남서부 안달루시아 지역에서는 [haˈsɛɾ] 발음)로 변한 것이 그 예이다. 또 다른 음운론적 영향으로는 가스코뉴어가 단어 시작 부분에 오는 /r/ 발음을 꺼려 단어 앞에 보강 모음을 덧붙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바스크 기층 언어 이론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바스크 언어학자 알폰소 이리고옌(Alfonso Irigoyen)이 제시하고 콜도 미첼레나(1982)가 지지한 이론에 따르면, 바스크어는 피레네 산맥 주변 지역에서 가론강 유역까지, 심지어 로마 시대에는 지중해 연안까지 퍼져 있던 기층 언어였을 가능성이 높다. Joan Coromines는 로마 시대 온천이었던 ''Arles de Tech'' (루시용)를 돌보는 님프들의 이름으로 ''niska''라는 단어를 인용한 바 있다.[7] 중세 시대에 들어 바스크어는 가스코뉴 전역에서 점차 사용이 줄어들었다. (서기 1000년경까지 아란 계곡에서 바스크어 사용 기록이 언급된다.) 이 과정에서 속 라틴어와 바스크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혼합되었고, 결국 동부 및 중부 피레네 산맥 북쪽 지역에서는 속 라틴어가 바스크어를 대체하면서 가스코뉴어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현대 바스크어 역시 가스코뉴어로부터 어휘적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유리'를 뜻하는 바스크어 단어 ''beira''는 가스코뉴어에서 온 것으로, 이는 갈리시아-포르투갈어에서도 발견된다. 가스코뉴어가 바스크어에 영향을 미친 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북부 바스크 지방의 인접 지역에서 언어 접촉을 통해 부가층 언어로서 영향을 준 경우이다. 둘째는 11세기부터 온다리비아에서 산세바스티안에 이르는 기푸스코아 해안 지역에서 나타난 영향이다. 이 지역에서는 18세기 초까지 가스코뉴어가 사용되었으며, 16세기까지 공식 문서에 자주 등장했고, 1870년대 파사야에서도 여전히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있다.[8] 그 외에 산티아고 순례길을 따라 형성된 정착촌이나, 12세기부터 14세기 초까지 나바라 왕국이 ''옥시타니아|프랑크인''에게 부여한 특권을 통해 여러 마을에 형성된 민족 구역도 작은 영향을 미쳤을 수 있으나, 이들 지역의 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툴루즈의 옥시탕어였다.
또한, 가스코뉴어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인 ''énonciatif'' (옥시탕어: ''enunciatiu'') 시스템 역시 바스크 기층 언어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이는 주로 구어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문장의 의미나 화자의 태도를 미묘하게 조절하는 특정 전동사(preverbal particles)들의 사용을 규정한다. 여기에는 강조를 나타내는 긍정사 ''que'', 완화나 의심을 나타내는 ''e'', 감탄을 나타내는 ''be'', 더욱 강한 강조를 나타내는 ''ja''/''ye'', 그리고 공손함을 나타내는 ''se'' 등이 포함된다.[15]
3. 방언
가스코뉴 방언은 크게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9]
- 서부 가스코뉴: 랑데 방언과 북부 가스코뉴(바자데, 고지 랑데, 보르들레)를 포함한다.
- 동부 또는 내륙 가스코뉴: 'parlar clar'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베아르네가 여기에 속한다.
- 피레네 또는 남부 가스코뉴: 아라네 방언을 포함한다.
과거 보르도, 바욘 등지에 거주했던 유대인들은 20세기 초까지 독특한 음성 및 어휘 특징을 가진 가스코뉴의 사회 방언을 사용했다. 언어학자들은 이를 유대-가스코뉴어라고 부른다.[10] 현재는 이 방언의 어휘적 특징 대부분을 유지한 프랑스어의 사회 방언으로 대체되었다.[11]
베아르네어는 과거 베아른이 독립 국가였을 때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지만, 단일하고 통일된 언어는 아니다. 베아른 지역 내에서도 남부에서는 피레네 가스코뉴어, 중부 및 동부에서는 동부 가스코뉴어, 북서부에서는 서부 가스코뉴어가 사용되는 등 세 가지 형태의 가스코뉴어가 쓰인다.
프랑스어 | 랑데어 | 베아르네 및 비고르당어 | 아라네어 | 코맹게주아 및 쿠즈르네어 | 내륙 가스코뉴어 | 바자데 및 고지 랑데어 | 보르들레어 | |
---|---|---|---|---|---|---|---|---|
긍정문: 그는 간다 | Il y va | Qu' i va. | Que i va. | I va. | Que i va. | Que i va. | (Qu’) i va/vai. | I vai. |
부정문: 그는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 Il ne l’écoutait pas | Ne l’escotèva pas | Non / ne l’escotava pas | Non la escotaua | Non l’escotava cap | Ne l’escotava pas | (Ne) l’escotèva pas | Ne l'escotava pas/briga |
복수 형성: 젊은 남자들 – 젊은 여자들 | Les jeunes hommes – les jeunes filles | Los gojats – las gojatas | Eths / los gojats – eras / las gojatas | Es gojats – es gojates | Eths gojats – eras gojatas | Los gojats – las gojatas | Los gojats – las gojatas | Los gojats – las dònas/gojas |
4. 언어 사용 현황
1982년 베아른에서 실시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51%가 가스코뉴어를 구사할 수 있었고, 70%는 이해했으며, 85%는 가스코뉴어 보존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12] 하지만 수 세기에 걸친 프랑스어화 정책의 영향으로 가스코뉴어 사용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현재 가스코뉴어는 칼란드레타와 같은 일부 학교를 제외하고는 젊은 세대에게 거의 전수되지 않고 있다.
2011년 4월, 멸종 위기 언어 프로젝트는 가스코뉴어 원어민 화자 수를 약 25만 명으로 추산했다.[13][14]
가스코뉴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는 프랑스에서 비공식적이고 일반적으로 평가절하된 방언(예: 갈로어) 또는 언어(예: 옥시탄어)를 지정하는 단어인 "파투아"이다.[15] 인구는 주로 베아른에서 가스코뉴 형태를 지정하기 위해 "베아르네"라는 용어를 동시에 사용한다. 이는 베아른의 정치적 과거 때문인데, 1347년부터 1620년까지 독립 국가였다가 주권 국가(축소된 나바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사실, 통일된 베아르네 방언은 없으며, 언어는 지방 전체에서 상당히 다르다. 발음의 많은 차이점은 동부, 서부, 남부(산악 지역)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 끝의 'a'는 서부에서는 "ah", 동부에서는 "o", 남부에서는 "œ"로 발음된다. 베아른의 특정한 정치적 과거 때문에, 베아르네는 16세기부터 언어학적 이유가 아닌 가스코뉴어와 구별되어 왔다.
5.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아마도 서부 로망스어군의 언어적 연속성과 중세 시대에 프랑스가 히스파니아 변경백령에 미친 영향의 결과로, 가스코뉴어와 국경 반대편의 다른 라틴어 계열 언어, 즉 아라곤어, 극서부 카탈루냐어(라 프란하의 카탈루냐어) 사이에서 유사하고 특이한 특징이 나타난다.
가스코뉴어는 또한 (스페인어, 나바라-아라곤어, 프랑스어와 함께) 바스크어에 영향을 준 로망스어 중 하나이다.
6. 특징
가스코뉴가 로마의 지배를 받기 전에 이 지역에서 사용되던 언어는 바스크어 방언 연속체의 일부였다(아키타니아어 참조). '가스코뉴'라는 단어 자체가 라틴어 ''vasco''/''vasconem''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바스크'와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 이는 당시 화자들이 자신들을 바스크인으로 인식했음을 시사한다. 가스코뉴어 발달 과정에서 바스크 기층 언어의 영향이 있었음이 증명되었는데,[5] 이는 가스코뉴어가 다른 옥시탕 방언들과 구별되는 주요 특징 중 일부를 설명해준다.
바스크 기층 언어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가스코뉴어의 특징은 라틴어의 'f'가 'h'로 변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 라틴어 ''festa''('파티/축제')는 가스코뉴어에서 거친 'h' 소리를 거쳐 ''hèsta''가 되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이 소리가 완전히 사라지기도 했다. 기층 언어 이론에 따르면, 이는 바스크 방언에 /f/ 음소가 없었기 때문에 발생한 변화이다. 유사한 음운 변화는 스페인어에서도 나타난다 (예: 라틴어 ''facere'' → 스페인어 ''hacer''). 또 다른 바스크 기층 언어의 영향으로는 단어 시작 부분의 'r' 발음을 꺼려 보강 모음을 덧붙이는 현상이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바스크 기층 언어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바스크 언어학자 알폰소 이리고옌(Alfonso Irigoyen)이 제시하고 콜도 미첼레나 (1982)가 지지한 바에 따르면, "피레네 주변" 언어로서 바스크어가 로마 시대에 피레네 산맥 주변부터 가론 강둑, 어쩌면 지중해까지 퍼져 있었던 기본 언어라는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진다(''niska''는 Joan Coromines가 로마 온천 ''Arles de Tech'' (루시용)을 돌보는 각 님프의 이름으로 인용했다).[7] 중세 시대에 가스코뉴 전역에서 바스크어는 점차 쇠퇴했으며(아란 계곡에서는 서기 1000년경까지 바스크인 언급됨), 속 라틴어와 바스크어가 상호 작용하고 혼합되면서 결국 속 라틴어가 바스크어를 대체하며 가스코뉴어로 발전했다.
한편, 현대 바스크어 역시 가스코뉴어로부터 어휘적 영향을 받았는데, 예를 들어 'beira'("유리")와 같은 단어가 있다. 가스코뉴어는 북부 바스크 지방의 인접 지역에서 언어 접촉을 통해 부가층 언어로서 바스크어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11세기부터 온다리비아에서 산세바스티안까지 이어지는 기푸스코아 해안 지역에서는 18세기 초까지 가스코뉴어가 사용되었고, 16세기까지 공식 문서에 자주 등장했으며, 1870년대 파사야에서도 사용 흔적이 발견된다.[8] 산티아고 순례길을 따라 형성된 민족 구역이나 12세기부터 14세기 초까지 나바라 왕국이 ''옥시타니아|프랑크인''에게 부여한 특권을 통해 형성된 정착촌도 있었지만, 이 지역 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툴루즈의 옥시탕어이다.
가스코뉴어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énonciatif'' (옥시탕어: ''enunciatiu'') 시스템이다. 이는 규범적인 문어체보다는 구어체에서 두드러지며, 특정 전동사 입자(강조하는 긍정의 ''que'', 완화나 의심의 ''e'', 감탄의 ''be'', 더 강한 강조의 ''ja''/''ye'', 공손함의 ''se'' 등)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 역시 바스크 기층 언어의 영향으로 여겨진다.[15]
그 외 가스코뉴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스페인어(카스티야어), 카탈루냐어, 다른 남부 오크어와 마찬가지로, 'v'와 'b'의 음운적 구별이 사라지고 유성 양순 마찰음으로 발음된다.
- 동사 바로 앞에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는 소사를 사용한다. 긍정문에서는 'que', 의문문에서는 'e', 감탄문에서는 'be'를 사용하여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는 마커 역할을 한다.
- 인명(성씨 제외) 앞에 관사를 사용한다.
- 소유 형용사 대신 재귀 대명사를 사용한 구문을 자주 사용한다.
가스코뉴어는 크게 세 가지 방언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9]
- 서부 가스코뉴어: 랑데 방언과 북부 가스코뉴어(바자데, 고지 랑데, 보르들레) 포함.
- 동부 또는 내륙 가스코뉴어: ''parlar clar'' (베아르네)로 알려짐.
- 피레네 또는 남부 가스코뉴어: 아라네 방언 포함.
보르도, 바욘 등 도시에 거주했던 유대인들은 20세기 초까지 독특한 음성 및 어휘적 특징을 가진 가스코뉴어의 사회 방언을 사용했는데, 이를 언어학자들은 ''유대-가스코뉴어''라고 부른다.[10] 이 방언은 이후 프랑스어의 사회 방언으로 대체되었지만, 어휘적 특징의 상당 부분은 유지되었다.[11]
과거 베아른이 독립 국가였을 때 공식 언어였던 베아르네어는 단일한 언어가 아니다. 베아른 지역 내에서는 남부의 피레네 가스코뉴어, 중부 및 동부의 동부 가스코뉴어, 북서쪽의 서부 가스코뉴어 등 세 가지 형태의 가스코뉴어가 사용된다.
프랑스어 | 랑데어 | 베아르네 및 비고르당어 | 아라네어 | 코맹게주아 및 쿠즈르네어 | 내륙 가스코뉴어 | 바자데 및 고지 랑데어 | 보르들레어 | |
---|---|---|---|---|---|---|---|---|
긍정문: 그는 간다 | Il y va | Qu' i va. | Que i va. | I va. | Que i va. | Que i va. | (Qu’) i va/vai. | I vai. |
부정문: 그는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 Il ne l’écoutait pas | Ne l’escotèva pas | Non / ne l’escotava pas | Non la escotaua | Non l’escotava cap | Ne l’escotava pas | (Ne) l’escotèva pas | Ne l'escotava pas/briga |
복수 형성: 젊은 남자들 – 젊은 여자들 | Les jeunes hommes – les jeunes filles | Los gojats – las gojatas | Eths / los gojats – eras / las gojatas | Es gojats – es gojates | Eths gojats – eras gojatas | Los gojats – las gojatas | Los gojats – las gojatas | Los gojats – las dònas/gojas |
7. 간단한 표현
- Adiuoci 안녕하세요, 안녕히 가세요.
- Adishatzoci 안녕하세요, 안녕히 가세요 (여러 사람에게).
- Tiòcoci / Quiòoci / Òcoci 네.
- Nonoci / Non pasoci 아니오.
- Mercésoci 고맙습니다.
- Mercés planoci / Mercés hèraoci / Fòrça mercésoci 감사합니다 (더욱 정중하거나 강조하는 표현).
- D'arrenoci 천만에요.
- Perdonoci / Desencusaoci 미안합니다, 실례합니다.
- Tà'vs pregaroci / En vse pregaroci / Se'vs platzoci 부탁합니다 (정중한 표현 또는 여러 사람에게).
- En te pregaroci / Se't platzoci 부탁해 (보통 표현 또는 한 사람에게).
- Quin vas?oci 잘 지내? / 잘 지내십니까?
- Que va planoci 잘 지내.
단어 | 번역 |
---|---|
땅 | tèrraoci |
하늘 | cèuoci |
물 | aigaoci |
불 | huecoci |
남자 | òmioci / òmeoci |
여자 | hemnaoci |
먹다 | minjaroci / manjaroci |
마시다 | béveroci |
크다 | granoci |
작다 | petitoci / pichonoci / pichòtoci |
밤 | nueitoci |
낮 | diaoci / jornoci |
8. 수
wikitext
숫자 | 가스코뉴 방언 표기 |
---|---|
1 | un, una |
2 | dus, duas |
3 | tres |
4 | quatre |
5 | cinc |
6 | sheis |
7 | sètoci |
8 | ueit |
9 | nau |
10 | dtz |
참조
[1]
웹사이트
639 Identifier Documentation: gsc
https://iso639-3.sil[...]
SIL International
[2]
서적
Le Gascon. Études de philologie pyrénéenne
Max Niemeyer, & Pau, Marrimpouey jeune
[3]
논문
Note sur l'âge du (proto)gascon
[4]
간행물
El lèxic hereditari caracteristic de l'occità i del gascó i la seva relació amb el del català (conclusions d'un analisi estadística)
[5]
서적
The Basques
Center for Basque Studies
[6]
웹사이트
Abecedario andaluz
http://descargas.cer[...]
Ediciones Mágina
2012-02-13
[7]
서적
Vascuence y Romance: Ebro-Garona, Un Espacio de Comunicación
Gobierno de Navarra / Nafarroako Gobernua
[8]
웹사이트
LOS GASCONES EN GUIPÚZCOA
http://atzoatzokoa.g[...]
IMPRENTA DE LA DIPUTACION DE GUIPUZCOA
2009-04-12
[9]
기타
Classification of X. Ravier according to the "Linguistic Atlas of Gascony"
http://www.revistado[...]
2009-09
[10]
논문
Diglossia among French Sephardim as a motivation for the genesis of ‘Judeo-Gascon’
https://www.academia[...]
[11]
서적
Gascon et français chez les Israélites d’Aquitaine. Documents et inventaire lexical
Classiques Garnier, Paris
[12]
웹사이트
No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gsc
http://www.ethnologu[...]
[13]
웹사이트
Gascon
http://www.endangere[...]
2021-07-05
[14]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the full list
https://www.theguard[...]
2011-04-15
[15]
논문
The Gascon énonciatif system: Past, present, and future. A study of language contact, change, endangerment, and maintenance
https://escholarship[...]
eScholarship Publishing, University of California
[16]
웹사이트
El aranés se convierte en la tercera lengua oficial de Cataluña
http://www.abc.es/ag[...]
ABC
2010-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